범죄학 얘기

범죄학 범위, 분야 등

남궁Namgung 2010. 3. 24. 03:22

 

(2009년 9월 메일에서...)

 

 


여기서 공부한지는 1년 밖에 안되어, 아직 뭐가 뭔지 확실히 안다고 할 수 없지만, 혹 제 경험이 도움이 되실지 몰라 문의하신 것에 대해 말씀드립니다. 

 

1. 범죄학 전공이 커버하는 범위 및 세부분야

원론적인 얘기지만 범죄학은 범죄의 원인을 공부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는데, 그에 대한 접근법이 다양합니다. 사회학을 전공하셨다니 더 잘아시겠지만, 미국 범죄학은 사회학에서 태어난 자식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. 그러리만큼 미국 범죄학은 사회학 측면에서 연구하는 사람들이 많지만, 지금은 그 이외에도 다른 측면에서 범죄를 연구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. 하지만, 범죄학 (criminology) 자체만을 연구하는 학교는 그리 많지 않고, 그에 대한 대책이라고 할 수 있는 criminal justice를 같이 연구하는 학교들이 많습니다. 오히려 criminology 없이 criminal justice만 연구하는 학교들도 꽤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. police, prosecution, correction, probation 등 형사절차 전반을 연구하는 것이죠. 따라서 학과 이름에 criminology and criminal justice가 들어 있다면 범죄 원인을 연구하는 것에서부터 좀더 실무적인 측면까지 연구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.

 

2. 국내에서 타과 전공을 했어도 바로 criminology PhD 과정으로 어플라이가 가능한지 여부

전혀 문제 없다고 생각합니다. 오히려 지원하실때 잘 쓰신다면 더 유리할 수도 있겠습니다.

 

3. 학교선택 여부: Univ. of Cincinnati, Florida State Univ., Penn state Univ., CUNY, Sam Houston Univ. 각각의 학교들이 갖는 criminology 내에서의 특징 같은 게 있을까요(펀딩관련 특징 포함해서)? 

사실 저도 UC, FSU, PSU는 지원했었는데, 한 학교 (FSU)에서는 펀딩없이 어드미션이 왔고, 나머지 두학교에서는 어디미션을 받지도 못했습니다. 그저 공부한다는 막연한 생각으로 학교의 특성이 어떤지 생각할 겨를도 없이 지원했었죠. 나중에는 생각이 바뀔지 모르겠습니다만, 학교가 무슨 중심이다는 큰 의미가 없지 않나 싶습니다. 내가 무엇을 선택해서 어떻게 학위를 위해 공부하느냐가 제일 중요한 것 같구요. 그 학과에서 잘 나가는 교수들이 어디에 중점을 두느냐에 따라 약간 접근법이 틀릴 수는 있겠지만, criminology and criminal justice라면 어디를 선택하시든 공부하는데 (학생 입장에서) 큰 차이를 느낄 수 없을 것으로 생각합니다. (완전히 개인적인 생각입니다. 다른 학교에 대해서는 별로 들어본 바가 없어서...)

펀딩을 받으셔야 한다면 , 우선 그 문제를 가장 고려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구요... UC와 Sam Houston은 는 어느 정도 펀딩이 있다고 알고 있지만 정확한 내용은 모르겠고, 나머지 학교는 그나마 펀딩이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. . 여기 UMSL의 경우, PhD 학생에게 학비 면제와 (교수와 1주일 20시간 일하는 조건으로) 매월 일정액을 보조받을 수 있어 큰 도움이 되지만, 대신 뽑는 학생수가 매년 5-6명 정도 밖에 되지 않아 경쟁이 치열하다고 들었습니다. 일단 많은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펀딩을 주기는 하지만, 박사과정 학생을 많이 뽑는 학교라면 그 펀딩을 받기가 수월하지 않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. (제가 지원할 때 FSU가 그랬습니다.)

 

아무튼, 저도 준비해 보니 이것 저것 쉽지 않더군요. 인터넷이나 다른 주위 분들로부터 많은 정보 구하셔서 조금이라도 부담을 더시면서 준비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. 물론, 궁금하신 것이 더 있으면 언제든지 제게 연락하셔도 됩니다.  


 

'범죄학 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미국 경찰 이야기  (0) 2020.10.15
인생사 만족 그래프  (0) 2010.09.13
셉티드, 두번째  (0) 2010.05.28
일명 셉티드 (CPTED)  (0) 2010.05.28
새 메뉴  (0) 2010.03.24